- 구 분
- 정책뉴스
- 첨부파일
-
-
등록된 첨부파일이 없습니다.
앞으로 소상공인도 정기결제와 정기배송을 통해 고객에게 정기적으로 상품과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이 쉬워질 전망이다.
중소벤처기업부(장관 권칠승, 이하 중기부)는 8월 5일(목) 42차 비상경제 중앙대책본부 회의에서 ‘22년까지 3,000명의 소상공인이 구독경제로 진입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소상공인 구독경제 추진방안’을 발표했다.
구독경제는 일정 금액을 지불하고, 정기적으로 제품 또는 서비스를 사용하는 거래 유형이다.
기업은 장기 고객 확보와 안정적인 수입으로 불확실성으로부터 오는 위기를 완충할 수 있으며, 소비자는 ‘소유’하는 것보다 낮은 비용으로 다양한 경험이 가능하다는 측면에서 주목받고 있는 비즈니스 모델이다.
글로벌 시장규모 역시 ‘15년 약 4,200억불에서 작년(’20년)에는 5,300억불(약 630조원)까지 급성장했다.
국내에서도 쿠팡, 이마트 등 대형 유통사와 정보통신(IT) 기반 스타트업 중심으로 구독경제를 적용한 서비스를 선보이고 있으며, 구독상품을 이용해본 소비자가 70%*를 넘을 정도로 빠르게 성장하고 있다.
* 소비자 연령대별 구독경제 이용 여부(응답 1,374명) : 20대 이하 73.5%, 30대 78.4%, 40대 76.4%, 50대 69.2%, 60대 이상 71.0%
비대면 가속화 등 새로운 유통 트렌드 하에서 구독경제는 안정적인 수익 창출의 기회가 될 수 있다는 점에서 소상공인에게도 매력적인 분야임에도 불구하고,
소상공인 대부분은 구독경제 운영에 필요한 판매 플랫폼, 물류, 상품 구성 등 기반 구축이 어려워 진입이 더딘 상황이다.
문제는 구독 서비스의 주요 분야가 소상공인의 주요 제품군과 유사*해 만약 소상공인의 참여가 늦어져 유통·정보통신(IT)기업 중심으로 구독경제가 발달할 경우 소상공인은 기존 영역에서도 도태될 수도 있어,
중기부는 소상공인도 구독경제에 손쉽게 참여하고, 직접 운영할 수 있도록 진입장벽을 낮추는 데 초점을 두고 지원책을 마련했다.
* 소상공인 온라인 제품 : 식품(38.9%), 패션·잡화(20.4%), 리빙·생필품(11.9%) 순
** 구독 서비스 : 식품(31.3%), 리빙·생필품(25.1%), 패션·잡화(15%), 렌탈 서비스(11.7%) 순
이번 지원정책의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다.
1. 소상공인이 손쉽게 참여할 수 있는 구독경제 4가지 모델 제시
구독경제에 참여는 희망하지만 어떻게 참여할지 모르는 소상공인을 위해 민간기업과 함께 구독경제를 손쉽게 운영해 볼 수 있는 모델을 발굴했다.
소상공인이 각자 상황에 맞게 어떻게 구독경제에 참여할 수 있는지를 직관적으로 안내하기 위해 ’밀키트 구독‘, ’가치소비‘, ’골목상권 선결제‘, ’직접 운영‘의 4가지 모델을 제시하고, 참여하는 소상공인에게는 민간몰 입점부터 판매, 배송 등 전 과정을 지원한다.
① (밀키트 모델) 밀키트 제조업체 및 민간 쇼핑몰과 협업으로 밀키트 제조부터 판매, 정기배송까지 전 과정 지원(’21. 30개사) ② (가치소비 모델) 지역 특산물 및 소상공인 제품으로 민간몰(MD)이 ’효도상품‘ 또는 ’복지상품‘ 꾸러미를 구성, 구독경제관에서 판매(’21. 150개사) ③ (선결제 모델) O2O 기업이 오프라인 업체(미용실, 카페 등)에서 사용할 수 있는 선결제 시스템 구축 → 골목상권의 안정적 수익 창출 지원(‘21. 50개사) ④ (직접 운영 모델) 전통시장·농수산조합 등 소상공인 단체 등을 대상으로 구독경제 필수 요소 등(자사몰, 풀필먼트, 운영 지원 등) 지원 |
구독상품 판매를 지원하기 위해 민간 온라인몰에 소상공인 전용 구독경제관을 개설하고, 할인쿠폰 등 판촉 비용을 일부 보조하는 방식을 도입할 예정이다.
2. 구독경제 도입을 위한 이용권(바우처) 사업 신설
구독 서비스 제공에 필수 요소인 판매 플랫폼(자사몰), 물류(풀필먼트), 상품구성을 지원하기 위해 바우처 방식의 지원사업을 신설해 소상공인의 활발한 진입을 유도한다.
그리고 기타 운영 과정에서 필요한 전담 인력, 배송 차량 등 기타 지원사항도 메뉴판 식으로 제공해 초기 비용 부담을 덜어주는 등 소상공인의 구독 경제화 마중물 역할을 다할 계획이다.
① (플랫폼 바우처) 구독경제 지원이 가능한 민간 플랫폼 입점 및 구독 서비스 제공을 위한 자사몰 구축을 지원(‘22) ② (물류 바우처) 민간 물류 전문업체를 활용, 구독상품의 유통에 필요한 보관, 배송, 재고관리 및 교환·환불 등 원스톱 배송 서비스 지원(’22) ③ (상품구성) 구독상품 다양화를 위한 참여 소상공인 확대 및 생산자 조직 구성(조합 등)을 지원하여 정기배송 품목을 확대 ④ (운영 바우처) 구독경제 운영에 필요한 각종 지원사업을 단계별로 구성·제공하고, 소상공인의 상황에 맞는 사업을 매칭·지원(’22) |
3. 소상공인 구독상품 경쟁력 강화 지원
이 밖에도 구독상품이 소비자의 선택을 받을 수 있도록 제품 자체의 경쟁력 강화를 위한 사업도 연계해 나갈 예정이다.
이는 공동 브랜드 개발, 커뮤니티 광고, 고객만족 지원센터 도입 등 소비자 신뢰 확보 노력과 기존 온라인 교육을 개편하여 소상공인 구독경제 교육을 신설 등 디지털 역량강화 사업 등을 들 수 있다.
중기부 권칠승 장관은 “이번 지원대책은 소상공인도 구독경제에 손쉽게 진입할 수 있도록 문턱을 낮추기 위한 것으로 구독경제는 정기 판로가 확보되어 안정적인 사업 운영이 가능한 이점이 있다”며,
“이번 지원을 통해 많은 소상공인분들이 경기변동에도 흔들리지 않는 강한 소상공인으로 거듭나시길 희망한다”라고 전했다.
이번 ’소상공인 구독경제 추진방안‘에 따른 후속 지원사업에 대한 안내는 중기부 누리집(www.mss.go.kr) 등을 통해 공고될 예정이다.
이 보도자료와 관련하여 보다 자세한 내용이나 취재를 원하시면 중소벤처기업부 온라인경제추진단 장병석 주무관(☎044-204-7283)에게 연락주시기 바랍니다. |
참고 | 소상공인 구독경제 추진 방안 (요약) |
1. 현황 및 지원 필요성
? ’구독경제‘가 세계적 흐름으로 급부상한 가운데, 국내에서도 대형 유통사 및 중소기업(IT 기업 등) 중심으로 진출하는 등 관심 고조
* 시장규모(크레디트스위스) : (‘15) 약 4,200억불 → (’20) 약 5,300억불(약630조원)
** 주요 사례 : 와이즐리(면도날), 꾸까(꽃다발), 한국야쿠르트(간편식 ’잇츠온‘)
- 비대면 가속화 등 신 유통환경 하에 소상공인에게도 구독경제 참여는 안정적 수익 창출의 기회이며, 참여 환경도 조성
? (공급) 플랫폼기업·물류전문업체(메쉬코리아, 위킵 등) 출현 → 정기배송 서비스 용이 ? (수요) 1인 가구 증가·MZ 세대 등장* → 구독 서비스 필요성 증가 * 1인 가구 비율 : (‘00) 15.5% → (’19) 30.2%, MZ세대(주력 소비층, 10∼39세) 비율(‘21) : 35.8% |
? 다만, 소상공인은 ①구독경제 참여 방법 및 ②구독경제 도입에 필요한 기반(판매 플랫폼, 물류, 상품구성) 구축 등에 애로 ⇒ 초기 지원 필요
2. 지원 방향
① 시범모델 제시를 통한 경험 확산
- ’민간 유통기업‘와 협업이 가능한 모델을 발굴·제공함으로써 구독경제 참여 경험을 소상공인에게 보급
② 구독경제 필수 요소 도입을 위한 바우처 사업 신설·지원
- 소상공인이 구독경제 참여 및 운영에 필요한 지원사업을 마련, 이용권(바우처) 형태로 지원 * 플랫폼, 풀필먼트, 컨설팅, 콜드체인, 인력 등
3. 추진 전략
4개 시범모델 제시 및 확산
◈ 소상공인 누구나 구독경제에 쉽게 참여할 수 있는 모델을 제시하여 다양한 소상공인의 참여를 유도 |
① (밀키트 모델) 밀키트 제조업체 및 민간 쇼핑몰과 협업으로 밀키트 제조부터 판매, 정기배송까지 전 과정 지원(’21. 30개)
- 밀키트 제조·유통업체가 기획, 개발, 포장, 유통 등 全 과정 담당, 소상공인은 레시피, 상호 사용 권한 등 제공
- 민간 쇼핑몰이 소상공인 전용 ’구독경제관‘을 개설하여 판매
* 기간권 결제 시 할인쿠폰 지원 검토
② (가치소비 모델) 지역 특산물* 및 소상공인 제품으로 민간몰(MD)이 ’효도상품‘ 또는 ’복지상품‘ 꾸러미를 구성, 구독경제관에서 판매(’21. 150개)
* 농·수·축산물 조합 등 소상공인 단체와 협업이 가능한 지자체를 공모로 선정(’21. 2곳)
** 기간권 결제시 할인쿠폰 지원 검토
③ (선결제 모델) O2O 기업이 오프라인 업체(미용실, 카페 등)에서 사용할 수 있는 선결제 시스템 구축 → 골목상권의 안정적 수익 창출 지원(‘21. 50개)
- 입점(상세페이지 등) → 판매(홍보·배달비 등) → 선결제 할인 지원
- 수도권 등 도심을 대상으로 시범 운영 후 점차 확대, 향후 판매 실적 우수업체는 밀키트 등 지원으로 BM 확장(전국 상권화) 추진
④ (직접 운영 모델) 소상공인 단체 등을 대상으로 구독경제 역량에 따라 지원사업(자사몰, 풀필먼트, 운영 지원 등)을 메뉴판식*으로 지원(’22)
3 + 1 구독경제 지원사업 신설
◈ 구독경제 3대 주요 요소(플랫폼, 물류, 상품 큐레이션)와 운영에 필요한 사항을 고려, 이용권(바우처) 형태로 지원 |
① (플랫폼 이용권(바우처)) 구독경제 지원이 가능한 민간 플랫폼 입점 및 구독 서비스 제공을 위한 자사몰 구축을 지원
- (민간 플랫폼) 정기결제 시스템을 구축한 민간 플랫폼 등에 소상공인 전용 구독경제관을 개설하여 입점·판매 지원(’21. 150개 → ‘22. 확대)
* 상세페이지 제작, 기간권 판매 할인 지원 검토, 정기 기획전(할인쿠폰, 무료배송 등) 개최(‘21. 10회)
- (자사몰) 솔루션 전문업체*를 활용, 쇼핑몰 홈페이지·결제시스템 등 종합 솔루션을 제공을 통해 자사몰을 구축 지원(’22)
② (물류 이용권(바우처)) 민간 물류 전문업체를 활용, 구독상품의 유통에 필요한 보관, 배송, 재고관리 및 교환·환불 등 일괄 배송 서비스 지원(’22)
③ (상품구성) 구독상품 다양화를 위한 참여 소상공인 확대 및 생산자 조직 구성(조합 등)을 지원하여 정기배송 품목을 확대
- 다수의 생산자가 참여하는 꾸러미 상품*의 개발을 통해, 구독경제가 조직적 협업을 통해 활성화되는 기반 마련
* 품목 예시 : 명절 차례상 및 제사상 차림 서비스, 밀키트, 계절 상품 등
- 소상공인·자영업자가 업종별·지역별 팀-워크할 수 있는 온라인·오프라인 결합 구독상품 개발(’22)
* 예시 : (건강테마) ’건강식품(온라인 구매)+헬스케어(오프라인 헬스장 방문)‘ 상품
(미용테마) ’미용용품(온라인 구매)+미용케어(오프라인 미용실 방문)‘ 상품
④ (운영 바우처) 구독경제 운영에 필요한 각종 지원사업을 단계별로 구성·제공하고, 소상공인의 상황에 맞는 사업을 연결·지원(’22)
* 지원내용 : 상품개발 단계(인증·허가) → 유통 단계(콜드체인, 포장·배달) → 관리 단계(인력 지원) 등 단계별 필요 이용권(바우처) 지원
[자료제공 :(www.korea.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