울산서 국내 첫 ‘수소선박’ 뜬다…상용화 실증 착수 [중소벤처기업부]

조회수 5218 | 등록일 2021-07-02

구 분
정책뉴스
링 크
https://www.korea.kr/news/policyNewsView.do?newsId=148889420&call_from=rsslink
첨부파일
    등록된 첨부파일이 없습니다.


국내 최초로 선박용 수소충전소를 구축하고 탄소 배출 없는 수소연료전지로 운항하는 선박의 상용화가 닻을 올렸다.

중소벤처기업부와 울산광역시는 국내 최초로 수소연료전지 선박 상용화를 위해 30일부터 본격적인 실증에 들어갔다고 밝혔다.

수소연료전지 선박 운행 실증/선박용 수소충전소 구축 실증 모습

울산 ‘수소그린모빌리티 특구’는 지난 2019년 11월 규제자유특구로 지정돼 한국해양교통안전공단과 한국가스안전공사 등과 협력해 수소연료전지가 탑재된 소형선박 2척과 이를 충전하기 위한 선박용 수소충전소 1기를 구축하고 실증을 위한 수소연료전지 파워팩 개발, 선박용 수소충전소 안전기준 마련, 수소배관 인프라 구축 등의 사전 준비를 해왔다.

이번 실증은 국내 수소 산업 생태계의 부족했던 부분을 채우기 위해 소형선박에 수소연료전지 동력체계를 적용해 운항하는 실증과 수소연료전지 선박용 수소충전소를 구축하는 실증으로 구성돼 있다.

수소선박에 대한 국내외적 관심은 국제해사기구(IMO)가 온실가스 저감기술이 적용되지 않은 선박의 건조와 운항을 단계별로 불허한 이후 높아졌다. 미국에서는 수소를 연료로 하는 여객선이 지난해부터 샌프란시스코 연안을 운행하기 시작하는 등 수소선박에 대한 기술력 확보 경쟁이 세계 각국에서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하지만 국내의 경우는 수소연료전지를 탑재한 선박의 형식 승인에 필요한 안전기준이 마련돼 있지 않아 제조와 운항이 불가하고 수소의 충전도 자동차로 국한돼 선박엔 수소를 충전할 수 없는 상태다.

실증 내용을 살펴보면 ‘수소연료전지 동력체계 적용 운항 실증’은 국내 기술로 개발(범한퓨얼셀)한 연료전지 파워팩을 소형선박(2척)에 탑재해 성능과 안전성을 검증하고 형식 승인을 받을 수 있는 안전기준(안)을 마련하게 된다.

실증에 사용되는 수소연료전지 선박에는 수소연료전지와 배터리가 하이브리드 형태로 탑재되며 연료전지 전력만으로도 최대 6시간 운항이 가능하고 배터리 전력을 포함하면 8시간까지 운항할 수 있다.

운항구역은 안전성을 검증해 가며 1→3단계로 단계적으로 확대해 나갈 방침이다. 실증 착수 시점에는 울산 장생포항 인근을 1일 4~6시간, 10노트(18.5km/h)의 속도로 일반 화물선 등이 운항하지 않는 시간대에 해양경찰서 등의 안전 지도를 받으며 운항하게 된다.

또한 ‘수소연료전지 선박용 수소충전소 구축 실증’은 현행 법규로는 수소충전소의 충전 대상이 자동차로만 국한돼 있어 특례를 통해 충전 대상을 국내 최초로 소형선박까지 확대한 것이다.

선박용 수소충전소 구축에 필요한 안전기준(안)은 한국가스안전공사와 협의해 수립했고 지난 1월 규제 소관 부처인 산업통상자원부의 최종 승인을 마쳤다. 아울러 안전사고에 대비해 소화설비와 방호벽 설치도 지난달 완비했으며 안전관리자 1인도 현장에 상주시켜 안전관리와 보안에 대비했다.

수소 공급은 기존 울산석유화학단지 내 수소 배관을 선박용 수소충전소까지 2.4㎞ 연장해 안정적인 수소 공급이 가능하게 했으며 선박 한 척당 최대 충전량은 10kg이며, 충전 시간은 40분가량 걸린다.

특구사업자인 빈센, 에이치엘비 등 국내 선박업체들은 국제해사기구(IMO) 규제 강화로 수소선박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고, 기존 벙커씨유 선박에 비해 소음도 적고, 환경오염도 없으며 에너지 효율은 높아 시장 전망이 밝다며 초기시장을 선점할 수 있도록 신속한 제도개선을 요청하고 있다.

김희천 중기부 규제자유특구기획단장은 “이번 실증을 통해 수소연료전지 소형선박의 안전기준과 선박용 수소충전소의 법적 근거가 마련되면 울산의 탁월한 조선해양산업 기반과 수소산업을 바탕으로 수소선박의 미래를 열어갈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며 “특구의 성과가 제도개선으로 이어질 수 있도록 적극 지원하겠다”고 말했다.

문의: 중소벤처기업부 규제자유특구과 044-865-9813, 울산광역시 에너지산업과 052-229-6480


[자료제공 :(www.korea.kr)]
top : 상단으로 이동